본문바로가기

건설사업관리

사업소개

사업분야 사업분야

 

CM의 정의

프로젝트의 기간, 비용, 품질 등을 관리할 목적으로 시작부터 완료까지 수행되는 전문적인 관리 프로세스
The process for professional management applied to a construction project from project inception to completion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ime, cost, scope and quality.
[Construction Management Association of America (CMAA)]

건설사업의 공사비절감(Cost), 품질향상(Quality), 공기단축(Time)을 목적으로 발주자가 전문지식과 경험을 지닌 건설사업관리자에게 발주자가
필요로 하는 건설사업관리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위탁하여 관리하게 하는 새로운 계약발주방식 또는 전문관리기법
[한국CM협회]

건설사업관리라 함은 건설공사에 관한 기획, 타당성 조사, 분석, 설계, 조달, 계약, 시공감리, 감리, 평가, 사후관리 등에 관한 관리업무의 전부 또는
일부를 수행하는 것
[건설산업기본법 제2조 6호]

건설사업관리 CM- 일정, 비용, 리스크, 클레임, 안전, 품질로 발주처에게 시간절약, 비용 절약, 품질을 보장 한다.

 

CM의 필요성

건설관리 경험과 전문역량 보완

발주자의 건설사업관리 전문요원 부족 보완

효율적인 사업비 집행

설계단계부터 참여하여 경제적/합리적 설계 및 적합성 검토

경제적인 공법선정 및 VE기법에 의한 대안제시로 최적의 사업비 도출

LCC(Life Cycle Cost)측면의 공사비 적정성 검토로 유지보수 비용의 최소화 유도

공사관리 최적화

구조, 시공성, 공법, Interface 등 설계/공사단계에서 효율적 공사관리

최상의 시공품질 확보 및 공사오류 최소화로 건설품질 보장

최적의 건설공정관리를 통한 공기준수

가치향상

cm사업관리방식은 cm비용이 들지만 기존사업관리방식 보다 공사비 절감, 공사품질 향상, 공사기간 단축, 발주자 전문역량 보완하여 가치를 상승시킨다

 

CM의 단계별업무

기획

  • 건설사업의 기획 타당성 조사 및 분석 등 사업비와 공사비 비용 분석
  • 프로젝트 절차 매뉴얼 및 각종 계획서 (품질, 안전, 공정 등) 관리

설계

  • 설계자 선정업무 지원
  • 공사 발주 계획 수립
  • 설계 경제성 검토 / Value Engineering 실행
  • 설계 일정 및 기성관리, 설계 조정 및 연계성 검토(설계Interface)

조달

  • 계약관련회의 주관 / 계약 및 이행
  • 보고서 작성 및 제출
  • 계약요구사항 및 지침 작성

시공

  • 시공 단계별 공정/안전/품질/환경 관리
  • 예산 및 사업비 관리 / 기성평가
  • 민원/사업비/품질/공정 등 클레임 관리
  • 설계 변경 관리 / 공사계약 변경 업무
  • 준공도면 관리

유지보수

  • 최종 공사비 / 최종보고서 작성 및 보고
  • 유지관리 방침 및 계획 수립 / 유지관리 지침서 작성
  • 하자보수 기술협력